티스토리 뷰

kBS 시사프로그램 ‘오늘밤 김제동’을 둘러싸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오늘밤 김제동’은 4일 ‘김정은 위인 맞이 환영단’의 김수근 단장을 인터뷰했습니다. 


김 단장은 지난달 2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어 자신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열렬한 팬”이라고 소개한 뒤, “김정은 위원장의 방문을 환영한다. 나는 공산당이 좋다”고 말해 눈길을 끈 인사입니다. 



김 단장은 ‘오늘밤 김제동’에서도 튀는 발언을 이어갔습니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 “우리 정치인들에게 볼 수 없는 모습을 봤다. (김 위원장의) 겸손하고, 지도자의 능력과 실력이 있고, 지금 (북한) 경제발전이나 이런 모습을 보면서 정말 팬이 되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국제적으로 비판받고 있는 북한의 세습과 인권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박정희 전 대통령 이후에 박근혜 전 대통령도 대통령이 되고, 시진핑 (중국 주석)이나 푸틴(러시아 대통령)은 20년 넘게 하는데 왜 거기는 세습이라고 이야기 안 하냐”고 반문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북한에 가서 살고 싶냐’는 질문이 나오자 “지금은 돈도 없고, 그럴 생각이 없다. 솔직히 (북한을 실제로) 본 적이 없지 않냐”고 말했다. 이어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생각할 자유’를 달라는 것”이라며 “그걸 이야기하면서 (금기를) 깨고 싶었다”고 강조했다. 

 



김 단장의 발언에 대해 패널로 출연한 이준석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은 “북한의 3대 세습과 박정희-박근혜 전 대통령의 관계를 동일시하는 것은 오류가 있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지금 탄핵을 당했지만, 선거를 통해 당선됐기에 그 지위에서는 민주적 정당성을 가진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함께 패널로 나온 신지예 녹색당 공동위원장은 “(김 단장의 입장이) 이해는 된다. 칭송이나 숭배라기보다 우리 사회 금기를 깨고 싶었던 것 같다”며 “다만 조금 더 세련됐더라면 오해를 피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 단장의 주장이 여과없이 방송된 것을 두고 KBS 공영노동조합은 5일 성명을 내고 “공영방송 KBS가 보도할 내용이 맞는가. 마치 북한 중앙방송을 보고 있는 것 같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KBS 공영노조는 “KBS가 김정은 남한 방문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총대라도 맨 것인가”라며 “국민 모두로부터 수신료를 받아 운영되는 국가 기간방송이 어떻게 현행법에 반국가 단체로 규정된 북한의 김정은을 일방적으로 찬양하는 발언을 그대로 방송하는가”라고 지적했습니다. 

  

자유한국당 등 야권도 강하게 비판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성중 한국당 의원은 “국민이 아니라 정권의 나팔수 역할을 하기로 작정한 것 같다”며 “문 대통령이 지난 2일 기자간담회에서 ‘모든 국민이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정말 쌍수로 환영해 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하자 기다렸다는 듯이 김 단장 발언을 내놓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박 의원은 “민영방송도 아니고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에서 이처럼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장을 그대로 받아준다는 건 전파 낭비”라며 “KBS측에 이런 주장을 여과없이 실어준 이유와 취지에 대해 따져 묻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KBS는 이달 3일부터 보도프로그램인 ‘뉴스라인’을 폐지하고 해당 시간에 시사프로그램 ‘오늘밤 김제동’을 확대 편성했다. 시작 시각을 기존보다 30분 당겨 월~금 밤 11시에 방송하고, 방송 시간도 10분 늘렸습니다. 


‘오늘밤 김제동’은 지난 9월 시작 이래 김제동씨의 고액 출연료, 2%대에 머무는 저조한 시청률, 자질 논란 등으로 줄곧 도마위에 올랐습니다. 



3일 방송에선 러시아 혁명가 미하일 바쿠닌에 관해 이야기하던 중 김제동씨가 “(바쿠닌은) 러시아 이전에 구 소련 사람이 아니냐? ”고 물었다가 전원책 변호사가 “1850년 무렵 활동한 분인데 무슨 구소련이 나오냐”고 핀잔을 주는 일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김씨는 재차 “1850년이면 소련이 다 분할되기 전 아니냐”고 물어 구설에 올랐습니다. 구 소련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성립된 국가로 1991년 해체됐습니다.